크게 3가지의 중요 설정을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1. 사용자 관리 On/Off
[예시 화면]


2. 자동 가입 옵션 여부
[예시 화면]

3. 동의 항목 선택 및 수집목적 입력
[예시 화면]

[상세설명]
사용자 관리 "사용"을 On 합니다.
기존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관리가 켜져 있었으나, 이제는 명시적으로 사용을 선택 해야합니다.
자동 가입 옵션 여부를 결정합니다.
기본적으로 자동 가입 옵션은 켜져 있는데, 서비스 가입 절차 flow에 따라서 자동 가입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카카오 로그인 토큰을 얻는 순간과 실제 서비스 가입 사이에 다른 절차, 예를 들면, 서비스 약관 동의 등이 없다면, 자동 가입 옵션을 켜놓은 상태로 사용합니다. 즉, 사용자가 처음 해당앱에서 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여 로그인 하는 순간 가입되게 됩니다. 보통 테스트 할때나, 사용자 관리를 하지 않고, 단순히 로그인을 사용하는 서비스의 경우 자동 가입 옵션을 사용하게 됩니다.
카카오 로그인 토큰을 얻는 순간과 실제 서비스 가입 순간이 다른 시점이라면 자동 가입 옵션을 끄셔야 합니다. 그러면, 사용자가 처음 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여 토큰을 받는 순간 가입까지 되지는 않습니다. 토큰만 발급 받고 미가입 상태의 사용자가 만들어진 상태이며, 이때 호출할 수 있는 있는 토큰 정보API로 미가입 상태의 사용자 id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 서비스 가입 과정이 모두 이루어진 후에 가입 API를 호출해주면 그때 가입이 완료 됩니다.
사용자가 카카오 로그인으로 가입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카카오톡이나 카카오스토리 내에 존재하는 카카오계정의 연결된 앱관리 페이지 입니다.
카카오 로그인 토큰을 얻는 순간과 실제 서비스 가입 순간이 다름에도 불구 하고, 자동 가입 옵션을 켜서 사용하는 경우는,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입 과정 중에 그만 둔 경우라도, 카카오 로그인을 통해 토큰을 발급 받은 후라면, 연결된 앱관리에 해당 앱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과정은, 서비스를 탈퇴하고 난 후, 탈퇴가 잘 되었는 지 확인차 로그인을 해보는 과정에서 자주 겪게 됩니다.
동의창에 보여줄 동의 항목을 정책에 따라 직접 선택합니다.
개발자 사이트의 [앱]-[설정]-[사용자 관리] 에서 앱 동의항목을 설정하실 수 있고, 동의항목 설정은 아래 네가지 옵션중 하나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1) '필수'로 지정된 동의항목은 앱 가입시 나오는 동의창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이에 동의해야만 앱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2) '가입시 선택'으로 지정된 동의항목은 앱 가입시 나오는 동의창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이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앱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3) '이용중 선택'으로 지정된 동의항목은 해당 API를 사용할 때 나오는 동의창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이에 동의하지 않으면 해당 기능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4) '사용안함'으로 지정된 동의항목은 어떤 동의창에서도 나오지 않습니다. (앱에서 해당 API를 사용하지 않고, 앞으로도 사용할 가능성이 없을 때 해당 동의항목을 '사용안함'으로 하시면 됩니다.)
덧붙여, 선택(가입시 선택, 이용중 선택) 동의항목은 이전에 사용자가 해당기능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동의하였어도, 해당 기능을 다시 사용하려 하면 동의창이 나와 다시 동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동의항목을 사용하기로 하였다면, 동의항목 수집 목적을 반드시 기술하셔야 하며, 서비스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기술해주시길 권고 드립니다.

PS) 너무나도 철저한(?!) 개인정보 방침으로부터, 좀 더 자유로워지고 싶은... 그래서 좀 더 창의적이고 사용자들한테 큰 혜택을 줄 수 있도록 연구/개발/서비스 제공을 하고 싶은... - 카카오 플랫폼 서비스팀 드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