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로그인과 카카오 싱크를 구현중입니다.
기존 회원 서비스가 동작중이기 때문에 기능을 추가하는 형태로 가려고 하는데
기존 로그인 체계에 카카오 가입과 로그인이 추가되는 형태라 연동 방식에서 고민이 많은 상태입니다.
지금은 신규 소셜 회원은 카카오 싱크를 통해 서비스 약관 동의까지 한번에 진행하고
기존 회원은 내 페이지에서 계정을 연동하는 방식으로 구현을 진행하였습니다
신규로 회원이 접근한 경우에 기존 회원 정보와 중복되는 부분이 있으면 가입을 취소하는 로직을
unlink를 통해 구현했지만 탈퇴한 서비스에 테스트 앱이 남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또한 기존 회원의 연동 과정에 카카오 싱크 관련 약관이 보이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구현 방향의 문제인지 다른 해결 방향이 있는지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원 가입이 불가한 경우 unlink를 사용하지만, 사용자 카카오 계정 관리페이지의 해제한 서비스 목록에 표시되는점을 지적해 주신 것으로 이해 하였습니다.
해제한 목록은 사용자가 직접 삭제 할 수 있도록 관련 기능을 구현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카카오 로그인의 경우 동의화면에서 개인정보 제3자 제공동의를 거치기에 이후 서비스가 연결해제 하였다 하더라도 해제한 서비스 목록에 남게 됩니다.
추가로,
기존 회원의 연동 과정에서 싱크 약관이 표시되는 문제가 어떤 내용인지 잘 이해하지 못하였는데요
어떠한 흐름에서 발생하는지 기대 값은 무엇인지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기존 회원의 경우 서비스 자체 로그인을 진행한 이후
내 정보 탭에서 카카오 로그인 연동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 싱크 url을 그대로 사용하면 서비스에서 이미 동의한 약관이 카카오 ui에서
다시 표시되는 부분이 있는데 별도의 url나 다른 방향으로 구현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해당 시나리오에서는 service_terms 파라미터에 빈 값 또는 공백 한칸을 전달함으로써 서비스 약관 표기하지 않도록 하실 수 있습니다.
추가로, 서비스측에 보관된 사용자의 약관 동의 상태는 서비스 약관 동의 처리하기 또는 철회하기 기능으로 관리할 수 있는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앞에서 unlink관련 설명을 잘 해주셨는데 unlink이외에 가입 취소에 사용할 수 있는 api는 없을까요?
가입 취소의 개념은 회원을 운영하는 서비스측에 있습니다.
카카오 로그인은 Oauth2 표준 스팩에 따라 제공되며 앱이 사용자 자원에 접근할 수 있게 권한을 위임받아 제공하는 방식이기에 가입취소와 같은 개념이 아닌 사용자와 앱의 연결 끊기(unlink)만 있습니다.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