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사용중 필수동의 항목이 추가되면 미동의 사용자는 로그인시에 동의를 받나요?

디벨로퍼스 앱 id: 642387

카카오 로그인을 이용중에 있고, 특정 시점에 필수동의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이전에 서비스를 이용하여 추가된 필수동의를 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존재할텐데요.
이 사용자들은 다시 카카오 로그인을 수행하게되면 추가된 필수동의 항목에 대한 동의화면이 노출되고 동의해야만 로그인이 성공하나요?

안녕하세요.

필수 동의 항목이 추가된 경우, 기존 사용자가 카카오 로그인을 수행할 때 추가된 필수 동의 항목에 대한 동의 화면이 노출됩니다. 사용자는 해당 동의 항목에 동의해야만 로그인이 성공합니다.

따라서, 이전에 추가된 필수 동의 항목을 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다시 카카오 로그인을 수행할 때 동의 화면이 노출되고 동의해야만 로그인이 성공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 @tim.l @woody.ho ]

1개의 좋아요

하나만 더 문의드려요.
개인정보에 대한 필수항목으로 이름, 전화번호, 성별, 출생년도, 생일, CI 등을 설정하여 동의를 받고 있는데요.

전화번호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에 대해서는 필수항목으로 설정하더라도
카카오 계정에 해당 정보가 없다면 사용자가 동의하더라도 계정정보 가져오기를 통해서 해당 값들을 획득할 수 없는게 맞을까요?
만약 저희 서비스에서 필수로 필요하다면 "카카오 계정으로 정보 수집 후 제공"을 설정해야하는 것이고요.

전화번호는 "카카오 계정으로 정보 수집 후 제공"으로 설정할 수 없다는 내용은 확인했습니다.

이름, 성별, 출생년도, 생일, CI 등에 대해서 "수집 후 제공"으로 설정하게 되면 휴대폰 본인인증 과정을 거친 후 해당 값을 수집하게 되는걸까요?

본인인증 중에서 카드본인인증을 선택하는 경우 성별이나 생년월일등은 카카오계정 정보에 설정되지 않더라고요.

안녕하세요.

사용자가 동의하더라도 계정정보 가져오기를 통해서 해당 값들을 획득할 수 없는게 맞을까요?

네, 맞습니다. 카카오계정에 없는 정보라면 동의 받지 않습니다. (정확히는 동의항목에 비표시)

이름, 성별, 출생년도, 생일, CI 등에 대해서 "수집 후 제공"으로 설정하게 되면 휴대폰 본인인증 과정을 거친 후 해당 값을 수집하게 되는걸까요?

네 맞습니다. "수집 후 제공"으로 설정하게 되면 성별, 출생년도, 생일은 본인 확인과 무관하게 카카계정에 이용자가 등록하고
CI는 전화번호 본인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데이터 수집한 후, 동의창이 뜨게 됩니다.

1개의 좋아요

빠르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에 출생년도, 생일, 성별 같은 값이 없는 사용자는 필수동의 항목으로 설정하더라도 동의항목에서 표시되지 않으며 동의를 받지 않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만약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카카오계정에서 등록하게 되면, 그 이후에 서비스에서 카카오로그인을 다시 수행하면 해당 정보에 대한 제공 동의를 다시 받게 되나요? 아니면 "수집 후 제공"을 설정해야만 그렇게 동작하나요?

안녕하세요.

제공 동의를 다시 받게 됩니다.
카카오 로그인 시, 계정에 정보가 없는 경우 동의 받지 않지만 이후 해당 정보가 입력되면 제공 동의 받습니다.

1개의 좋아요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저희 서비스는 CI가 필수 수집항목으로 되어있고, "수집 후 제공"으로도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는 CI가 존재할거라고 생각했는데요. 비교적 최근에 가입한 회원인데도 ci가 없는 케이스가 있었습니다.

이 케이스는 어떻게 존재할 수 있을까요?
해당 회원이 최초 저희 서비스에 가입한 일자는 25년 4월28일이고 해당 회원의 카카오 id는 4236624092 입니다.

참고로 저희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로그인할때마다 ci 값을 카카오 계정정보의 값으로 동기화 중인데요. 카카오 계정정보에서 ci를 삭제?할 수 있는 케이스가 있는걸까요? 그럴수 있다면 최초 회원가입시에는 ci가 있었지만, 이후 동기화되었을 수도 있겠다는 상상을 해봤습니다.

사용자는 일부 자신의 개인정보를 초기화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별, 생년월일의 경우 카카오 계정 관리페이지나 일부 서비스에서 초기화 할 수 있고, CI의 경우 고객센터를 통해 초기화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사용자의 최초 카카오 로그인 시점에 “수집 후 제공” 옵션에 의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받았다 할지라도
이후 사용자가 초기화 하였다면 제공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앞서 이미 제공 동의를 받았기에 다시 수집을 진행하지도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특정 항목 정보를 반드시 제공 받고자 하신다면
카카오 로그인 및 사용자 정보 조회 이후 일후 항목 데이터의 누락이 발견될 때, 추가 항목 동의 받기기능을 통해 scope를 지정하여 다시금 "수집 후 제공"이 동작하도록 카카오 로그인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인가코드 요청시에 필수로 제공받기를 기대하는 항목들을 항상 포함해도 되나요?

문서상에서는 "로그인 이후에 사용자정보와 동의항목을 확인해서 추가항목 동의받는 화면으로의 진행을 다시 할 수 있다."로 설명되어있는데요. 최초 로그인 시에도 필수로 제공받기를 기대하는 항목들을 모두 scope에 넣어서 인가코드 발급을 요청하면 문제가 될까요?

이미 동의를 모두 완료하고 제공이 가능한 사용자는 별도 동의없이 로그인하고, 동의받지 않거나 누락된 항목이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추가 동의가 노출되는 형태라면 제일 좋을 것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동의받고자 하는 항목을 Scope파라메터에 추가하여 항상로그인하도록 처리하여도 무방하나
[선택]동의항목의 경우 추가항목 동의로 동작하여 이전에 동의하지 않은 유저에게 다시 동의창이 표시되고 필수로 받아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배송지 항목이 [선택]동의항목인데요. 동의항목에서 설정 사용안함으로 제거 하시거나 [필수]로 설정하셔서 반드시 동의 받아야하는 항목으로 설정하시면

말씀하신 것처럼 동작할 수 있습니다.

1개의 좋아요

제가 이해한게 맞을까요?

  • scope을 설정해서 인가코드를 요청하면, scope 포함된 내용에 대해서는 항상 동의창이 표시됨
  • 최초 회원가입하는 상황부터 생각해보면, 선택동의 항목을 포함한 모든 항목을 scope에 넣어야하는데, 그러면 이미 서비스 회원가입완료한 사용자가 다시 로그인하는 상황에서 선택동의를 안한 경우 로그인할 때마다 선택동의가 노출됨(추가 동의 항목으로 요청했기때문에)

네, 맞습니다.

두번째 상황에서 기가입자가 추가항목동의로 동의창이 뜨면 [선택]이 아니라 [필수] 동의로 표시되고 동의 하지 않으면 로그인 할 수 없게됩니다.
추가 항목 동의는 가입 시, [선택]동의였지만, 특정 동선에서 반드시 동의 받아야하는 경우 처리 하는 방식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