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으로 로그인할때
어떤 서비스에서는 이메일,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창만 나오는데 또 어떤 서비스에서는 “카카오톡으로 로그인” 창과 함께 화면이 2분할되어 노출되는걸 보았습니다.
카카오 로그인시 호출되는 API 주소를 보면
카카오계정 에 client_id, redirect_uri, response_type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호출하는 동일한 구조인데요.
이 부분은 애플리케이션 설정에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톡으로 로그인할때
어떤 서비스에서는 이메일,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창만 나오는데 또 어떤 서비스에서는 “카카오톡으로 로그인” 창과 함께 화면이 2분할되어 노출되는걸 보았습니다.
카카오 로그인시 호출되는 API 주소를 보면
카카오계정 에 client_id, redirect_uri, response_type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호출하는 동일한 구조인데요.
이 부분은 애플리케이션 설정에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카카오 계정 로그인 페이지에서 “카카오톡으로 로그인” 버튼이 표시되는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동일한 핸드폰으로 동일한 브라우저 상황에서 카카오계정 주소에 인자값만 다르게 설정한다음 주소를 클릭했는데 2가지 형태가 노출됩니다.
카카오 어플리케이션 설정에 따른 차이점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JS SDK에서 사용하는 Javascript key로 authorize함수 호출하면 카카오 계정로그인 페이지 진입하지 않고
카카오톡으로 간편 로그인 먼저 진행됩니다.
카카오톡으로 로그인할 수 없는 상황에 Javascript key 사용한 경우는 카카오 계정로그인 페이지에서 해당 버튼 표기하지 않습니다.
REST API키를 사용하시면 즉시, 카카오 계정로그인페이지로 이동하고 위에 안내드린 기준에 따라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