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관리: 사용자 추가하기 API 를 통해 카카오 채널에 고객을 추가했습니다.
해당 채널에 저장된 고객들의 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목록 가져오기 API를 사용했는데
이와 같은 메시지가 뜹니다.
“msg”:“App(서비스명) disabled USER_MANAGEMENT service.”,“code”:-3
따로 설정해야될 게 있을까요?
고객 관리: 사용자 추가하기 API 를 통해 카카오 채널에 고객을 추가했습니다.
해당 채널에 저장된 고객들의 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목록 가져오기 API를 사용했는데
이와 같은 메시지가 뜹니다.
“msg”:“App(서비스명) disabled USER_MANAGEMENT service.”,“code”:-3
따로 설정해야될 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확인을 위해 앱 ID 알려주세요~
앱ID
https://developers.kakao.com/의 내 애플리케이션>앱 설정>요약 정보 : 기본정보에 있는 앱 ID
숫자로된 ID 입니다~
ex) 123456
두가지로 나눠서 설명 드릴게요.
/v1/user/ids 호출 시, 에러
→ 현재 606006앱은 카카오 로그인 활성화 상태가 아니여서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사용자 추가하기 API 를 통해 카카오 채널에 고객을 추가”
채널에 저장된 고객들의 리스트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목록 가져오기 API
→ 채널 고객 추가는 앱에 가입한 고객에 추가 특성을 등록해서 특정 고객을 타게팅 하여 메시지 발송하는데 사용합니다.
→ 즉, 고객 저장용이 아니라 고객의 추가 특성 저장용 입니다.
→ 사용자 목록 가져오기 API는 채널 사용자 추가하기 API 로 등록된 고객을 조회하는 것이 아니라
→ 카카오 로그인으로 연결된 고객 목록을 조회하는 API 입니다.
두 API는 목적이 다른 API 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채널에 고객을 추가하려면 카카오 로그인 > 사용자 정보 저장하기 (/v1/user/update_profile) API를 사용해야되나요?
채널에 고객 추가는
/v1/user/update_profile API는 사용자 정보조회(/v2/user/me) 시, 조회되는 properties 항목에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기능입니다.
카카오를 통한 로그인 기능이 없을 경우 /v1/user/update_profile 호출 시 access_token을 전달하지 못 할 것 같은데, 이처럼 카카오 로그인 기능이 없을 때 채널에 회원 정보를 저장하려면 다른 API를 사용해야할까요?
네, 맞습니다. access_token을 사용하는 API는 카카오 로그인으로 access_token을 발급 받은 경우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쉽지만, 위에 설명드린 것 처럼 “채널에 회원 정보를 신규 등록” 하는 API는 없고
카카오 싱크 도입으로 앱-채널 연결된 경우, 앱유저ID/전화번호를 이용해 채널에 추가 정보를 업로드하는 기능만 있습니다.
즉, 앱과 채널에 연결된 고객의 추가 정보만 등록 할 수 있습니다.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talk-channel/rest-api#add-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