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치라이선스를 사용하신다고 했는데, 아래에 보면 카피라잇부분에 기본 템플릿을 그대로 배포하고 계신것 같습니다.
저희 앱내에도 kakao sdk를 사용하기때문에 오픈소스 라이선스 고지를 하려고 하는데, 해당 내용이 비어있어 기입이 어렵습니다.
어떻게 작성해야할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Copyright [yyyy] [name of copyright owner]
Licensed under the Apache License, Version 2.0 (the “License”);
you may not use this file except in compliance with the License.
You may obtain a copy of the License at
http://www.apache.org/licenses/LICENSE-2.0
Unless required by applicable law or agreed to in writing, software
distributed under the License is distributed on an “AS IS” BASIS,
WITHOUT WARRANTIES OR CONDITIONS OF ANY KIND, either express or implied.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
@jyj535 kakao sdk의 경우 apache2 licens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LICENSE_COMMENT 파일을 보시면 기간, 회사가 명시 되어 있어요.
apache2 license의 경우 apache2 license를 포함시켜야 하는데요, 그것이 LICENSE.txt입니다. 이것은 저희가 수정하는것이 아니고 apache에서 배포해주는 license 파일입니다. 이를 그대로 포함하여야 해요(만약 해당 서비스가 apache2 license를 따른다면).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다른 license(third_party_licenses)를 고지하여야 하는데, 그것은 해당 project에 MIT등을 쓴다고 하면 거기에 apache2 license 및 MIT license 내용을 포함하면 되요. iOS SDK의 경우 추가적으로 third_party license를 사용하는 library가 없어서 이는 내용이 없습니다(카카오 안드로이드 SDK에는 있어요).
즉, 만드시는 해당 프로젝트를 무슨 license로 하실지를 정하셔야하고, 만약 apache2 license로 하실것이라면 위와 비슷하게 하시면 될것 같고, 다른 license를 사용하신다면 그 가이드를 따르셔야 할것 같아요.
kakao-ios-sdk-1.0.66.zip 파일에보면 따로 License_comment 파일은 안보이고, LICENSE 파일은 보입니다.
그리고, 저희가 카카오 SDK를 쓰게되면 카카오 SDK가 아파치 라이선스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이부분을 명시를 할건데요.
카카오 SDK에서 LICENSE 파일에 " Copyright [yyyy] [name of copyright owner] " 이렇게 적혀있는데,
이부분이 카카오로 적혀있어야지, 저희가 앱내에 고지하고 첨부가 가능합니다.
가령 예를들면 docker 오픈소스의 경우 아파치 라이선스를 따르며, 아래와같이 기입되어 있습니다.
(카파라잇부분)
Copyright 2013-2016 Docker, Inc.
Licensed under the Apache License, Version 2.0 (the “License”);
you may not use this file except in compliance with the License.
You may obtain a copy of the License at
https://www.apache.org/licenses/LICENSE-2.0
Unless required by applicable law or agreed to in writing, software
distributed under the License is distributed on an “AS IS” BASIS,
WITHOUT WARRANTIES OR CONDITIONS OF ANY KIND, either express or implied.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
@jyj535 헐… 해당 부분이 배포시에 빠지고 있었네요 다음배포시에 꼭 포함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알려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LICENSE_COMMENT
/**
* Copyright 2014-2016 Kakao Corp.
*
* Licensed under the Apache License, Version 2.0 (the "License");
* you may not use this file except in compliance with the License.
* You may obtain a copy of the License at
*
* http://www.apache.org/licenses/LICENSE-2.0
*
* Unless required by applicable law or agreed to in writing, software
* distributed under the License is distributed on an "AS IS" BASIS,
* WITHOUT WARRANTIES OR CONDITIONS OF ANY KIND, either express or implied.
*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
*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
*/
To apply the Apache License to your work, attach the following
boilerplate notice, with the fields enclosed by brackets “[]”
replaced with your own identifying information. (Don’t include
the brackets!)
라고 되어있어 [] 부분에 기입을 따로 해줘야하는 것으로 보이는데…혹여나 해석을 잘못한걸까여…?^^;;
말씀하신대로 보통 라이선스 전문과 Copyright를 분리해서
copyright 부분은 카카오로 작성하고, 라이선스 전문은 전문대로 넣어두는게 맞습니다.
카카오 뿐만아니라 대부분? 혹은 일부 앱들이 오픈소스 라이선스 고지를 복붙하다 보니 생기는 현상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저렇게 해도 문제가 되지않는게, 아파치 라이선스에서 정하고 있는 규칙들(전문과 카피라잇 삽입)은 다 지킨것이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안될겁니다.
제가 생각하는 맞는 방법은 말씀하신 방법과 똑같구요.
저희쪽에서 개발한 앱에는 END OF TERMS AND CONDITIONS 까지 전문으로 넣고 아래는 카카오 Copyright를 넣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