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QR 생성과 URL인코딩은 검색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공개 사이트를 이용했습니다.
추후 카카오에서 정식으로 홍보도구(생성기)를 지원하기 전까지는 번거로우시겠지만 아래처럼 부탁 드리겠습니다.
카카오싱크 퍼머링크의 예시입니다.
https://pf-link.kakao.com/qr/_HxoZUj/pages/_S
테스트 편의를 위해, 랜딩될 서비스URL은 카카오 공식 홈페이지로 설정했습니다.
도달할 서비스 URL은 https://www.kakaocorp.com 입니다.
위 퍼머링크로 생성한 QR코드입니다.
- 위는 https://www.the-qrcode-generator.com/ 에서 생성했습니다.
- 어떤 앱으로 스캔해도, 최종적으로는 카카오톡 인앱뷰에서 https://www.kakaocorp.com 가 열립니다
만약 위의 QR코드를 모든 매장에 동일하게 비치한다면 , 모든 매장에서 가입된 사용자가 동일한 페이지를 보게 되어, 매장별 행사 안내를 다르게 하는 등의 대응할 수가 있습니다.
사용자의 유입 경로 확인 방법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볼 서비스URL 뒤에 state=1, state=2 와 같은 파라미터를 붙일 수 있습니다.
https://www.kakaocorp.com 를 예로 들면,
스토어1에서 유입된 경우, 카카오
스토어2에서 유입된 경우, 카카오
와 같이 파라미터가 붙어,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유입 경로를 판별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싱크 퍼머링크에 원하는 파라미터를 붙이는 방법
※주의: 복수 개의 파라미터를 지원하지만, 텍스트 길이나 유형에 따라 의도한 파라미터가 다 보존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반드시 테스트해주세요
카카오톡채널 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 카카오톡채널 뒤에 원하는 파라미터를 붙여야 합니다.
- 원하는 파라미터를 그냥 붙이는 것이 아니라, URL인코딩된 값을 넣어야 합니다.
URL인코더는 검색으로 찾을 수 있는 사이트 중 어느 곳을 써도 무방합니다(참고 링크)
state=1을 URL인코딩 시 state%3d1이 되는데
- URL인코딩한 값을 붙이면 아래와 같습니다.
카카오톡채널
사용자가 위 링크를 클릭하거나, 링크로 생성한 QR코드를 스캔하면
카카오 을 카카오톡 인웹뷰에서 보게 됩니다.
위 스펙을 활용하면 매장 별 유입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스토어1: 카카오톡채널
스토어2: 카카오톡채널
스토어3: 카카오톡채널
오프라인 매장별 가입자를 분석하거나 안내를 분기하려는 경우,
- 카카오싱크 퍼머링크 뒤에 원하는 파라미터를 URL인코딩하신 뒤, ?query= 에 넣어주세요.
- {카카오싱크 퍼머링크}?query={파라미터} 로 QR코드를 생성하신 뒤, 해당 QR을 매장 별로 다르게 비치해주세요
파라미터 활용 시 주의할 점
- 의도한 파라미터가 서비스URL 뒤에 제대로 붙는지, 카카오톡 인웹뷰에서 반드시 확인해주세요.
- 파라미터에는 영문과 숫자만 넣어주시고(한글 안됨), 지나치게 긴 값은 피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