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스토리로 링크를 포스팅(웹사이트 공유하기) 하기 위해서는 먼저 링크 정보를 각 해당 플랫폼별 API를 통해 얻어야 합니다.
- iOS 링크 포스팅
- Android 링크 포스팅
- REST API 링크 포스팅
- Javascript 링크 포스팅
링크 정보를 얻는 과정이란 흔히 말하는 특정 사이트의 스크랩 정보를 얻는 과정입니다.
원하는 스크랩 정보(링크 정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스크랩되고자 하는 특정 사이트의 페이지를 구성하면 됩니다.
기본적인 스크랩은 Open Graph 프로토콜에 따라 이루어지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헤더에서 og:image
태그를 사용하여 페이지를 스크랩할 때 선정될 대표 이미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하나의 예로서 카카오 detalk에 구성된 정보입니다.
<head>
<title>Kakao Developers</title>
<meta property="og:url" content="https://devtalk.kakao.com/">
<meta property="og:title" content="Kakao DevTalk_">
<meta property="og:type" content="website">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s://devtalk.kakao.com/images/devtalk_.png">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카카오 데브톡. 카카오 플랫폼 서비스 관련 질문 및 답변을 올리는 개발자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meta name="description" content="카카오 데브톡. 카카오 플랫폼 서비스 관련 질문 및 답변을 올리는 개발자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meta name="keywords" content="데브톡,devtalk,카카오,디벨로퍼스,개발자,API,플랫폼">
...
</head>
추가적으로 카카오에서 스크랩을 하는 경우를 판별하여 별도 처리가 필요하실 경우,
User-Agent header의 특정 값으로 구별/판별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는 스크랩시 다음과 같은 user agent 값을 포함합니다.
> facebookexternalhit/1.1;kakaostory-og-reader/1.0
즉, user agent값에 kakaostory가 존재하는 경우, 서버에서 별도 처리를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