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_api 안녕하세요~
아래 케이스와 같이 traceroute로 호출이 잘되는 IP와 안되는 IP 비교해서 보시면,
차단되는 지점 확인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최초 서버에서 사설 IP대역으로 가고 내부망 공인 IP를 거쳐 카카오측 IP를 호출하게됩니다. 카카오에서는 운영하시는 서비스 네트워크 구조를 알 수 없으므로 traceroute외에는 차단위치를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이러한 케이스 모두 문의자 측 시스템내 다른 부분에 ACL 설정 또는 별도 프록시 설정 등에서 접근 제어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관련내용으로 재검토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카카오페이 송신시 203.133.166.33 및 211.249.200.134 경로로 서비스 되고 있는걸로 보이는데 해당 ip로 서비스 접근이 가능한게 맞는지와 ip차단 조치가 된다고 하면 언제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당장 가까울 시일에 차단된다면 서울보증보험 관련 서비스 전체가 장애날수 있어 기한 연장 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앞서 안내드린 공지와 같이 3월 10일 삭제 예정이었으나
원활한 대응을 위해 3월 말까지 구 IP는 유지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