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벨로퍼스앱/앱키 단위로 회원 관리체계가 됩니다. 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실 경우, 로그인시 회원 등록 및 linking이 되는데, 그 단위가 디벨로퍼스앱 단위로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에 다른 디벨로퍼스의 앱/앱키로 카카오 로그인이 적용되어 있다면, 카카오에서 다른 회원으로 관리된다고 이해하시면 될것 같아요.
Map API를 사용하기 위해 서로 다른 3rd-party 앱에 같은 디벨로퍼스의 앱/앱키를 적용하시려는 것으로 이해를 했는데요,
누가 어떤 API를 사용하는지, 또한 사용량/쿼터 측정 등을 위해서, 3rd-party의 다른 서비스라면 서로 다른 디벨로퍼스의 앱을 만들고, 그 디벨로퍼스의 앱의 앱키를 사용하시여 Map API를 호출하시는것이 올바른 사용방법이여요.
디벨로퍼스 앱을 생성하시면 앱키가 하나의 앱에 여러개 플랫폼 별로 나옵니다. Javascript, REST API, Native,
즉, 하나의 디벨로퍼스 앱을 통해 나온 플랫폼별 앱키 사용은 같은 앱으로 판별되고, 디벨로퍼스 앱 = 3rd-party 서비스 개념에 해당되요. 위 첫 문의글에서 디벨로퍼스 앱이 같다면 REST API, JS 모두 같이 API 사용이 가능하고, 같은 서비스로 판별 됩니다.
PS) 전략적 제휴라는것은 카카오 로그인 및 카카오싱크 기능을 도입하여 카카오와 별도 제휴를 맺는 형식을 의미합니다. https://business.kakao.com/info/kakaosync 보통 회원 체계의 가입, 로그인을 카카오와 연동하는 케이스에 주로 해당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