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웹훅(Webhook) 기반 외부 서비스 연결 끊기 처리 관련 문의

계정 상태 변경 웹훅 정책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login/callback#ssf
현재 저희는 카카오 로그인 연동과 관련하여, 외부 서비스 연결 끊기(Disconnection) 처리에 대한 정책을 검토 중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 사항에 대해 확인 요청드립니다.

  1. 외부 서비스 연결 끊기 시, 카카오의 기본 처리 방식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사용자가 카카오 계정 관리 화면에서 외부 서비스를 수동으로 연결 해제한 경우, 카카오 측에서는 웹훅(Webhook) 이벤트를 발송한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 때, 저희 서버가 연결 끊기 웹훅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네트워크 오류 등) 카카오는 재시도를 수행하는지요?
  • 재시도 정책이 있다면:
    • 재시도 주기
    • 재시도 횟수 제한
    • 재시도 실패 시 최종 처리 방법

**2. 만약 웹훅 수신에 실패한 경우, 서비스 측에서 별도로 주기적인 상태 동기화(예: 일주일 단위로 연결상태 재확인)를 구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카카오 쪽에서 주기적 연결 상태 검증 API나 방법을 제공하는지, 아니면 서비스 쪽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해야 하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확인을 위해 앱 ID 부탁드립니다.


앱ID
https://developers.kakao.com/ 의 내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ID 값 입니다.
숫자로된 ID 입니다
ex) 123456

[@tim.l @woody.ho]

앱 ID 1227454 입니다.

안녕하세요. @wchoev

계정 상태 변경 웹훅 재시도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기능은 현재 계정 상태 변경 웹훅에서만 지원 합니다.

카카오가 보낸 최초의 웹훅 요청에 서비스가 응답하지 않으면, 카카오는 동일 웹훅을 단계별로 재전송합니다.

  • 1단계: 5분 간격으로 2회 재전송
  • 2단계: 30분 간격으로 2회 재전송
  • 3단계: 60분 후 1회 재전송

최초 전송을 포함해 총 6회의 요청이 모두 응답하지 않으면 해당 웹훅은 실패로 처리됩니다.

또는 웹훅 이벤트 발송이 3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실패하면 앱의 계정 상태 변경 웹훅이 비활성화됩니다. 이 경우, 남은 재전송 횟수와 관계없이 웹훅 전송이 즉시 중단되고 실패로 간주됩니다.

재활성화

다시 웹훅 요청을 수신하려면 계정 상태 변경 웹훅 페이지에서 웹훅 활성화 상태를 [활성화]로 변경해야 합니다.


최종 실패한 경우, 별도 동기화 검증 API는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모든 유저를 다 확인해볼 수 없으니

일정기간 로그인이 없는 유저의 경우, 휴면탈퇴로 처리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어드민 키 방식 사용자 정보가져오기 API 호출 로 연결끊어졌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레퍼런스 | Kakao Developers 레퍼런스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