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프로세스가 아래가 맞는지요?

  • 사용자 동의 항목 return: /user/me API를 요청하시어 사용자의 정보를 3rd-party가 받아 갑니다.
  • 서비스 동의 항목 조회(Optional): 3rd-party service term을 카카오가 hint로 대신 받아 주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정보와 비슷하게 어떤 3rd-party service term을 받아 갔는지 확인하고, 3rd-party에서 참고하시어 회원처리를 합니다.
  • 플친 관계 조회(Optional): 플친 관계쪽은 제가 정확히 잘 모르겠어요. 플친 관련 처리가 필요하실 경우 비슷하게 하시면 될것 같아요.

2-1의 경우 기존 회원자이기 때문에 추가 동의가 뜨지 않습니다. 물론 카카오쪽의 필수 항목에 대해 동의가 안된 유저의 경우(엣지 케이스. 보통 특정 항목을 enable하지 않았다가 후에 enable을 하였고, 필수로 설정하였을 경우)는 해당 항목에 대해 추가 동의가 뜹니다. 즉, 핵심은 카카오쪽에서 동의창 UI/UX가 뜨는 시점이라면 2-2와 같은데, 이 케이스는 엣지 케이스이기 떄문에, 일반적으로는 구 가입자는 추가 동의창이 뜨지 않는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2-2의 경우 맞습니다.

답변이 되었나 모르겠네요.

cc @jeremy.kim @lars.1 @dan.j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