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닙니다. 묶은 데이터를 내려준다는 의미이죠.
직방의 경우를 보시면
https://www.zigbang.com/search/map
숫자로 묶인 것들이 이미 서버에서 저 위치에 몇개가 있는지 클러스터링을 하고 내려준 데이터입니다.
지도 JS SDK의 클러스터러처럼 하나하나의 데이터를 모두 클라이언트에서 연산해서 묶은게 아니라는 거죠.
저런 경우에는 클러스터링 된 갯수가 화면을 꽉채운다고 해도 대략 100개 내외로 끝납니다. 클라이언트에서는 약 100개 정도의 마커만 그려주면 되는거죠.
또 하나, 이 방법의 핵심은
지도의 중심이나 레벨이 변할 때마다 보이는 지도 영역에 있는 데이터만 서버에서 받아와 그려주도록 하는거죠. 이것은 지도의 idle 이벤트와 관련 있는데 일단 자세한건 생략.
다음 부동산은 다른식으로 풀었네요.
http://realestate.daum.net/maemul/area/3133060/A1A3A4/*/summary
클러스터링은 하지 않지만 일정 레벨 이하일 경우에만 데이터를 받아와 그립니다.
넓은 지역을 보게 될 경우 (레벨이 높을 경우) 데이터를 아예 호출하지 않습니다.
이건 아주 넓은 영역의 데이터를 볼 필요가 없을 경우에 실용적인 방법이겠네요.
클러스터링이 따로 필요 없으니까 심플하게 구현 가능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