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로그인은 OAuth2 표준으로 구글로그인, 애플로그인, 네이버로그인, 페이스북로그인 등 각종 소셜로그인과 작동방식이 동일합니다.
설정된 리다이렉트 URI로 HTTP 302 리다이렉트하며 code 파라메터로 인가코드를 전달하고
인가코드로 액세스 토큰 발급 받는 방식이죠.
설명해주신 내용상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토큰을 말씀하신건지, 자체 발급하는 JWT토큰을 말씀하신건지 혼재되어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리다이렉션 쪽에서 헤더값에 토큰들이 설정되있더라구요.
이부분도 어떤 것을 말씀하신건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 카카오로그인은 그렇게 처리 하지 않습니다. )
기재하신 코드를 보면 카카오와 무관한 자체 토큰 발급 내용으로 보이구요.
카카오 로그인 시,
spring oauth2 client 모듈을 사용하신다면 해당 모듈에 일임하시면되고,
백엔드에서 직접 구현하셔도 무방합니다.
카카오 로그인에 관한 간단한 예제는 아래 내용 먼저 참고해주시겠어요?
[rest api 예제] java (spring boot) - 카카오 로그인, 카카오 친구목록 조회, 메시지 발송